저자 |
한숭희 |
---|---|
페이지수 |
416 |
발행일 |
2023-07-30 |
출판사 |
학지사 |
ISBN |
978-89-997-2789-4 93370 |
교육비정가 | 18,000원 |
실결제금액 | 18,000원 (0% 할인) |
상품설명 | 평생학습은 기존 교육체계와 스스로를 차별화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학습 양식이다. 이 책에서 필자는 학교 체계와 평생학습체계를 대조하면서 근대 이후 형성되어 온 교육체계에 근본적인 균열과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한다. 평생학습체계는 학습사회라는 새로운 질서를 표방하면서 나타난 대안적 교육체계이며, 근대 학교교육체계가 획득한 특유의 ‘작동적 폐쇄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그 탈체계화를 전제로 자기조직화되기 시작한 학습 양식으로 그려진다. 평생학습은 처음부터 고유한 영토를 가진, 하나의 구분된 교육영역으로 이해되기보다는 오히려 기존의 근대 학교교육체계에 대한 대립과 변용으로 나타난 탈형식화 및 그것을 통해 형성된 이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느슨한 형태의 학습체계 집합체라는 관점을 취한다. 이를 위해 사회 체계의 생성과 변용을 설명하는 몇 가지 관점들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였다. |
목차 | 제1장 평생학습 탐구하기 · 평생학습이라는 사회 현상 · 전경화되는 학습들 · 평생학습의 자기경계와 성격 · 학습생태계라는 모형 · 학습체계와 활동 체계들의 네트워크 · 이론 연구의 필요성 제2장 평행학습이라는 큰 글자 · 평생학습이라는 큰 글자 · 사회적 학습 양식으로서의 평생학습 · 학습의 탈주와 평생학습 플랫폼의 출현 · 유네스코가 부여한 이미지 · 평생교육학: 큰 글자를 읽는 연구 · 포스트-평생학습의 관점 · 학습과학으로서의 평생학습이론 제3장 형식화의 시간: 학교교육이 창조한 형식학습의 세계 · 포스트-근대 학교와 평생학습 · 교육과 근대 학교의 창발 · 학교 체계의 특성 · 학습의 표준화, 조직화, 인정화 · 형식학습의 물신성 · 형식성은 어디에서 오는가? · 학교화되어 가는 사회 제4장 탈영토화의 시간: 평생교육의 초형식성과 탈경계화 · 평생교육개념의 탄생 · 『포르 보고서』의 위상 · 교육의 목적과 발전의 의미 재규정 · 탈체계화, 초형식주의, 학습사회 · 학교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 21개의 구체적 정책 개혁안 · 보고서의 의의 제5장 재영토화의 시간: 평생학습의 체계화와 이형성 · 신자유주의가 지나간 자리 · 『들로르 보고서』와 "평생에 걸친 학습" 담론 · 유럽의 평생학습 컨센서스 · 동아시아 국가-시민사회의 재편과 평생학습 · 생성적 이형성에서 탈중심화적 체계화로: "평생학습체계"의 등장 제6장 평생학습체계의 존재론 · 평생학습체계-학습의 탈주 · 결정론과 환원주의 극복 · 무엇이 체계를 재생산하게 하는가 · 무엇이 체계를 변형의 길로 이끄는가 · 평생학습체계의 존재론 제7장 팽창하는 학습생태계와 산업 5.0 · 팽창하는 평생학습생태계의 양상 · 평생학습 개념 생태계의 확장 · 포스트 휴머니즘적 사고 · 인간-비인간의 결합: 산업 5.0으로 · 평생학습에서 포스트-평생학습으로 제8장 지금의 평생학습담론을 넘어서 · 지구, 인간, 학습 · 형식학습 중심 교육학의 틀 깨기 · 동일성의 복제를 넘어서 · 잉게이징 마인드 · 전층위학습(Lifedeep learning) · 복잡 체계 학습의 중층 체계성 · 한 가지 사례 제9장 학습하는 체계들의 사회 · 학습사회라는 말 · 학습사회 담론의 역사적 궤적 · 학습하는 체계들: 사례 · 학습체계를 보는 관점 · 학습사회의 다층성과 전층위학습 · 학습사회와 집단지성 |
온라인강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