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y, Ur UNIVERSE
추천

기독교상담

과정 이미지
저자

신명숙

페이지수

400

발행일

2010-05-24

출판사

학지사

ISBN

978-89-6330-392-5 93180

교육비정가 18,000원
실결제금액 18,000원 (0% 할인)
  • 교재소개
  • 관련강좌
상품설명

이 책은 교회와 기독교인들의 삶의 현장에서 기독교상담이 일반상담과 무엇이 다르고, 오랜 기독교 전통에서 잃어버린 것은 무엇이고, 지키고 보전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즉 기독교상담의 정체성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1부는 전반적인 기독교상담의 이론으로서, 기독교상담의 정체성과 기독교상담의 뿌리라 할 수 있는 교회역사 전통에 나타난 영혼돌봄의 특성과 현대 기독교상담의 흐름과 방향을 살펴보며, 한국이라는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어떻게 기독교상담을 해 왔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한국 기독교상담이 나아갈지 그 과제를 살펴보았다.


2부는 기독교상담의 실제에 관한 것으로, 기독교상담 방법과 삶의 현장―청년, 여성, 병든 자, 기독교 사회복지 차원―에서 실질적으로 어떻게 기독교상담을 할 것인지 제시하였다.



목차

저자 서문


제1부 기독교상담 이론


제1장 기독교상담의 정체성 -신학적 근거-

1. 기독교상담의 정의

2. ‘영혼’으로서 인간이해

3. ‘영혼돌봄’으로서 기독교상담의 의미

4. ‘영혼돌봄’으로서 기독교상담의 목적

5. ‘영혼돌봄’으로서 기독교상담의 과제


제2장 기독교상담의 역사적 이해

1. 성서적 배경

2. 고대교회

3. 중세교회

4. 종교개혁 시대

5. 경건주의와 합리주의 시대

6. 근현세교회의 영혼돌봄과 심리치료의 등장


제3장 현대 기독교상담의 흐름

1. 기독교상담의 변천과정

2. 최근 기독교상담의 흐름과 모형


제4장 현대 기독교상담의 방향과 특수성 -타케 이론을 중심으로-

1. 기독교상담의 신학적 기초: 인간 성화에 관한 문제점

2. 기독교상담의 방향: 삶의 도움으로서 신앙의 도움

3. 기독교상담의 도구: 대화-성서에 의한 기독교상담

4. 기독교상담자의 자세: 복음의 증인으로서 동반자관계

5. 기독교상담 대화의 실제: 기독교상담자로서 만난 타케

6. 신학적인 평가

7. 한국 기독교상담에 주는 의미


제5장 한국 상황에서의 기독교상담 -관계 구조적인 측면에서-

1. 유교문화 상황에서의 기독교상담: ‘아버지’ 유형

2. 무교문화 상황에서 상담 가능성

3. 탈가부장적 기독교상담의 모형

4. 탈가부장적 기독교상담을 위한 한국교회의 과제


제2부 기독교상담 실제


제6장 기독교상담 방법 I -종교적 의사소통으로서 대화-

1. ‘단절’의 의미로서 대화

2. ‘인간 상호 간의 역동’으로서 대화

3. ‘단절’과 ‘인간 상호 간의 역동’으로서 종교적 의사소통의 문제점과 가능성

4. 맺는말: 종교적 의사소통을 위한 ‘참여’로서 대화


제7장 기독교상담 방법 II -삶의 이야기와 성서와의 대화-

1. 삶의 이야기와 성서와의 대화가 필요한 이유

2. 성서에 의한 기독교상담의 원리

3. 전통과 상황과의 만남으로서 상담

4. 삶의 이야기와 성서와의 만남을 위한 기독교상담자의 과제


제8장 청년을 위한 기독교상담 -대학생을 중심으로-

1. 청년을 위한 기독교상담의 필요성

2. 청년으로서 한국 대학생의 환경적인 발달특성

3. 환경적 발달특성이 청년 시기에 미치는 영향

4. 대학생을 위한 기독교상담


제9장 여성을 위한 기독교상담

1. 사회문화 속에서의 여성과 남성

2. 여성심리의 이론적 접근

3. 심리적 양성성을 통한 기독교상담의 가능성

4. 한국 사회문화에서의 기독교상담의 과제


제10장 병든 자를 위한 기독교상담 -‘왜’ 고통당해야 하는가-

1. 병든 자를 위한 기독교상담의 필요성

2. 병든 자들의 질병에 대한 심리적 반응

3. ‘왜’라는 물음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4. 병든 자를 위한 기독교상담의 과제


제11장 기독교상담의 실제적 실천 -전인적 영혼돌봄으로서 기독교 사회복지-

1. 전인적 영혼돌봄의 가능성으로서 기독교 사회복지

2.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기독교 사회복지

3. 디아코니적인 교회공동체 형성의 필요성

4. 기독교 사회복지: 전인적 영혼돌봄으로서 기독교상담의 실제적 실천


참고문헌

찾아보기

온라인강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