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천기 |
---|---|
페이지수 |
328 |
발행일 |
2021-09-20 |
출판사 |
학지사 |
ISBN |
978-89-997-2517-3 93370 |
교육비정가 | 17,000원 |
실결제금액 | 17,000원 (0% 할인) |
상품설명 | 이 책은 학교폭력 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학교폭력과 관련된 학생과 교사 자신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학교폭력 현상보다는 그 현상 속에 있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려 했다. 그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다루었지만, 그것을 긴 목록으로 열거하려고 하지는 않았다. 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연구 결과가 아니라, 학생들을 반성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성찰과 실천적 의미이다. 이 책이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학교공동체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교사들이 앞으로 학교폭력에 관한 자신들의 새로운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되도록 하고 싶었다. |
목차 | 머리말 Part 1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 Chapter 01_ 청소년과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시선 청소년을 대하는 사회의 시선 학교폭력을 바라보는 미디어의 시선 Chapter 02_ 청소년 담론과 프레임, 내부자 시선 위기에 처한 청소년, 위험 자체인 청소년 정상과 비정상 프레임에 갇힌 청소년 학교폭력에 대한 가해자의 시선 Part 2 학교폭력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한가 Chapter 03_ 학교폭력의 현상과 법률적 정의 ‘교실붕괴’는 가고 ‘학교폭력’이 오다 무엇이 어떻게 학교폭력이 되는가 Chapter 04_ 학교폭력의 본질: 피해자의 정체성 훼손 가해자 행동 중심의 정의와 피해자 중심 정의 Chapter 05_ 심각한 학교폭력 유형의 예 집단따돌림 사이버 폭력 Part 3 학교폭력은 왜 일어나는가 Chapter 06_ 가해학생에 대한 고정관념 가해학생: 심리적 문제가 있다? 학교폭력 집단 유형의 변화: 가해자와 피해자가 뒤바뀌는 학교폭력 어쩌다 ‘괴물’이 되었는가 Chapter 07_ 가해자의 가정환경, 학교환경, 사회환경 가정환경이 아이를 폭력적으로 만들었나 학교폭력을 조장하는 학교환경과 사회환경이 따로 있는가 Chapter 08_ 또래관계의 구조와 학교폭력 교실 카스트 학교폭력 발생의 집단적 맥락과 역동: 폭력의 위계구조 폭력의 위계구조의 사회적 맥락: 중간집단전체주의와 이지메 학교폭력에서 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일까 Part 4 학교폭력, 어떻게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가 Chapter 09_ 학교폭력예방법에 따른 대처방식과 한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학교폭력 사안 처리 절차 가해학생에 대한 처분의 실태와 효과 학교폭력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정책의 문제 Chapter 10_ 교사의 학교폭력 대처역량과 역할갈등 학생의 눈으로 본 교사역량 교사의 역할갈등 학교폭력 상황인식의 차이와 교사의 대처 어려움 학교폭력 사안 처리를 둘러싼 교사와 교장의 갈등 Chapter 11_ 학교폭력 방관과 방어 왜 방관자가 되는가 누가 방어자가 되는가 집단괴롭힘 경험과 심리사회적 적응 학교폭력에 대한 학부모의 낙관적 편향 Chapter 12_ 화해와 회복, 공감, 인권감수성 화해와 회복 회복적 생활교육 공감능력과 인권감수성 공감 코스프레와 불편한 즐거움 Part 5 학교폭력 대응 패러다임의 전환 Chapter 13_ 무관용주의의 한계와 회복적 정의 무관용주의 회복적 정의 Chapter 14_ 상호주관적 인정관계 타자와의 상호주관적 인정관계 자율적 인격체로서의 권리 회복 피해자의 개성적 정체성 회복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
온라인강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