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진희, 박미진, 임경희, 조붕환 |
---|---|
페이지수 |
344 |
발행일 |
2017-12-22 |
출판사 |
학지사 |
ISBN |
978-89-997-1379-8 93180 |
교육비정가 | 18,000원 |
실결제금액 | 18,000원 (0% 할인) |
상품설명 | 상담은 대화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좋은 상담이란 궁극적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내면에 대해 잘 이야기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내담자가 자신에 대해 잘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내담자 스스로가 자신에 대해 자각하고 변화하게 하는 것도 대화를 통해서이다. 효과적인 상담을 진행하고 상담의 성과를 내기 위해서 상담자는 전문적인 상담기법을 사용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훈련은 필수적이다. 이 책은 학교상담 장면에서 상담자가 상담기법을 효과적으로 이해·훈련·적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쓰였으며, 학교상담, 상담기법, 주제별 상담기법 적용의 총 3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학교상담의 의미와 목표, 학교상담자의 자질 및 역할과 학교상담에서 다루게 되는 영역 등 학교상담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개관하였다. 2부에서는 상담면접의 대표적 기법인 주의집중과 경청, 질문, 내용반영, 감정반영, 자기개방, 직면, 해석, 즉시성의 적용과 그 효과를 살펴보고 연습문제를 통해 직접 연습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담기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담기법의 사용을 예시를 들어 설명하여 상담기법의 적용 방법과 그 효과를 실제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장의 연습문제는 3단계로 구성하였는데 1단계는 적절한 기법을 적용해 보는 연습, 2단계는 가상의 청소년 내담자 사례의 상담 축어록 속에서 상담기법을 적용하는 연습을 할 수 있게 하였다. 3단계는 역할연습을 통해 상담기법을 점검하고 숙달할 수 있도록 실습으로 구성하였다. 3부에서는 학교장면에서 많이 접할 수 있는 정서문제 상담, 진로상담, 학교폭력 상담, 학부모 상담을 선정하여, 각 상담의 목표와 과정을 살펴보고 문제유형 및 주제별 상담 장면에 따라 상담기법을 적용해 보도록 하였다. |
목차 | <п>머리말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제1부 학교상담спан>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1장 학교상담의 이해спан>п> <п>1. 학교상담의 의미п> <п>2. 학교상담의 목표п> <п>3. 학교상담자의 자질п> <п>4. 학교상담자의 역할п> <п>5. 학교상담의 영역과 세부목표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제2부 상담기법спан>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2장 주의집중과 경청спан>п> <п>1. 주의집중과 경청의 효과п> <п>2. 주의집중과 경청의 방법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3장 질문спан>п> <п>1. 질문의 효과п> <п>2. 질문의 효과적인 사용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4장 내용반영спан>п> <п>1. 내용반영의 효과п> <п>2. 내용반영의 효과적인 방법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5장 감정반영спан>п> <п>1. 감정반영의 효과п> <п>2. 감정반영의 효과적인 사용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6장 자기개방спан>п> <п>1. 자기개방의 유형п> <п>2. 효과적인 자기개방 방법п> <п>3. 자기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7장 직면спан>п> <п>1. 직면의 사용п> <п>2. 직면의 효과п> <п>3. 직면의 효과적인 사용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8장 해석спан>п> <п>1. 해석의 사용п> <п>2. 해석의 효과п> <п>3. 효과적인 해석 방법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9장 즉시성спан>п> <п>1. 즉시성의 효과п> <п>2. 즉시성의 유형п> <п>3. 효과적인 즉시성을 위한 주의사항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제3부 주제별 상담기법 적용спан>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10장 정서문제 상담спан>п> <п>1. 정서문제의 유형 및 특징п> <п>2. 정서문제 상담의 목적п> <п>3. 정서문제 상담을 위한 상담자의 태도п> <п>4. 정서문제 상담의 과정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11장 진로상담спан>п> <п>1. 진로상담 이론의 이해п> <п>2. 진로문제의 일반적 유형п> <п>3. 진로상담 대화기법의 적용п> <п>4. 고려사항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12장 학교폭력 상담спан>п> <п>1. 학교폭력의 이해п> <п>2. 학교폭력 상담의 원리 및 과정п> <п>3. 학교폭력 피해학생의 상담п> <п>4.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상담п> <п>5. 학교폭력 피해학생 및 가해학생의 부모상담п> <бр> <п><спан стыле="цолор: #66ЦЦФФ; фон-т_веигхт: болд;">13장 학부모 상담спан>п> <п>1. 학부모 상담의 목적п> <п>2. 학부모 상담의 필요성п> <п>3. 촉진적 관계 형성을 위한 태도п> <п>4. 학부모 상담의 과정п> <п>5. 효과적인 학부모 상담을 위한 의사소통 기술п> <п>6. 상담 상황에 따른 tipп> <п>7. 기타 고려사항п> <бр> <п>참고문헌п> |
온라인강좌 |